반응형

비누화값 3

비누 만들 때 하는 실수들

1. 재료를 정확히 측정하지 않았을 경우 저는 여러번 이러한 실수를 했어요. 그래서 레시피를 옆에 두고 하나씩 확인 표시를 하면서 재료를 측정하고 넣어요. 어떤 때는 2kg 용량으로 계산해야 하는데 곱하기 잘못 암산하여 잘못된 경우도 있어서 만약 레시피에 있는 양보다 많이 할 경우는 꼭 계산기로 다시 양을 확인하고 적어두고 재료를 계량해 줘요. 2. 서로 다른 오일을 똑같은 양으로 바꿔 넣고 가성소다의 양은 바꾸지 않은 경우 만약 레시피와 다르게 오일을 바꿀 경우에는 반드시 가성소다 양을 다시 계산하여 넣어주어야 해요. 각 오일마다 비누화값이 틀리기 때문에 꼭 다시 계산해주어야 합니다. 저는 주로 애코팩토리의 비누화값 계산기를 사용해요. 이 계산기가 좋은 이유는 비누의 품질이 어떤지 알려줘서 비누화값을 ..

CP비누 레시피 작성법 (1)

오일의 효능을 파악하여 기본양을 구성합니다. 오일의 양을 정할 때 가장 기본적으로 팜과 코코넛의 양을 정합니다. 팜과 코코넛의 경우 CP비누의 주성분이며 오일총량의 45% 내외로 잡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팜은 비누의 단단하기를 결정하며 코코넛은 세정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재료입니다. 각 오일의 비누화값으로 가성소다의 양을 계량합니다. 예를 들어 코코넛오일 200g 팜유200g 윗점오일100g으로 오일을 만든다고 가정할 때 코코넛오일 비누화값 - 0.190 팜오일 비누화값 - 0.1410 윗점오일 비누화값 - 0.1310 코코넛오일 200*0.190 + 팜유200*0.1410 + 윗점오일100*0.1310 = 79 위의 오일을 비누화 만드는데 가성소다 79g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100% 비누화하면 피부에 ..

CP비누 레시피 작성법 (2)

어떤 베이스오일을 고를것인가? 베이스오일은 비누의 기본이 되는 지방산 유지를 통칭합니다. 비누에 첨가되는 각종 재료들의 유익한 성분을 피부에 잘 스며들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 캐리어 오일이라고도 합니다. 먹을수 있는 모든 기름은 비누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오일마다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성분 및 함량이 다르기 때문 어떤 오일은 비누로 만들었을 때 딱딱해 진다던가 어떤 오일은 거품을 많이 낸다던가 합니다. 대표적인 지방산의 종류 ü 라우릭산 / Lauric Acid : 거품이 많이나는 성질이 있습니다. ü 리놀레익산 / Linoleic Acid : 보습력이 좋은 지방산입니다. ü 리시놀레익산 / Ricinoleic Acid : 풍부한 거품을 내는 성질이 있습니다. ü 마이리스틱산 / Myrist..

반응형